Discover millions of ebooks, audiobooks, and so much more with a free trial

Only $11.99/month after trial. Cancel anytime.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Ebook145 pages1 hour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Rating: 0 out of 5 stars

()

Read preview

About this ebook

플롯, 스토리텔링, 모방, 비극, 에피소드, 카타르시스 개념의 탄생
마음에 각인되는 완벽한 이야기 구성의 기술

2,40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통하는 “드라마 구성과 전개, 플롯 구성의 방법”이 담겨 있는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이하 『시학』)이 현대지성 클래식 제35권으로 독자들과 만난다.
『시학』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당시 그리스인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던 ‘비극’을 집중적으로 탐구하여 시의 본질과 원리를 제시한 책이다. 여기서 말하는 ‘시’는 비극, 희극, 서사시, 서정시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롯”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반복해서 강조한다. 플롯은 여러 행위와 사건을 깁고 엮어 통일된 전체로 구성한 것이며, 비극은 플롯을 바탕으로 감정의 정화(카타르시스)를 거쳐 성숙한 인격을 갖추고 미덕의 삶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했다.
플라톤은 감정을 깎아내렸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행위로 표현되는 감정에 인간의 성격과 사상이 나타나므로 미덕 실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공포와 연민을 불러일으켜 카타르시스(정화)를 경험하고, 그러면서 즐거움을 누리는 것이 비극의 고유한 목표라고 누차 강조했다. 비극을 통해 그러한 감정을 경험하면 실제 삶에서도 감정을 조절하여 선한 방향으로 물꼬를 트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당시 그리스인의 삶에 깊이 뿌리내린 비극과 서사시가 단순한 유흥거리가 아니라, 자신의 철학 체계인 윤리학 및 정치학과 닿아 있음을 발견한 그는 이 비극 요소가 삶에서 철학의 목표를 이루어나가는 인간의 행위라고 보았다. 『시학』은 인간이 살아가며 본능적으로 행하던 것 속에서 진리와 선의 실체를 발견하고, 철학이 추구하는 목표인 진정한 ‘행복’(εὐδαιμονία, 유다이모니아)을 누릴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그 진가를 찾을 수 있다.

Language한국어
Publisher현대지성
Release dateMar 3, 2021
ISBN9791166812927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Read more from 아리스토텔레스

Related to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Titles in the series (31)

View More

Related ebooks

Reviews for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Rating: 0 out of 5 stars
0 ratings

0 ratings0 reviews

What did you think?

Tap to rate

Review must be at least 10 words

    Book preview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 아리스토텔레스

    제1장

    모방으로서의 시와 모방 수단

    시¹는 무엇이고, 갈래는 몇 가지이며, 각 갈래에는 어떠한 특징과 효과가 있는가? 좋은 시가 되려면 플롯²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 시의 구성요소는 몇 가지이고, 성격은 각각 어떠한가? 여기에서는 이런 것을 주로 다루겠지만, 그 밖에 이 주제와 관련 있는 내용도 언급할 예정이다. 먼저 이 주제와 관련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원리부터 말하는 것이 순서상 자연스러울 것이다.

    서사시와 비극, 희극과 디티람보스³, 피리나 키타라 연주를 위해 지은 곡 대부분⁴은 모두 모방 ⁵에 속한다. 하지만 이것들은 세 가지 면에서, 즉 모방할 때 사용하는 수단과 대상과 방식에서 서로 다르다. 다양한 대상을 모방하고 모사할 때 색과 형태를 이용하기도 하고(기술 혹은 기량을 발휘하며), 음성이라는 수단을 쓰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앞에서 말한 예술도 모두 리듬과 언어와 선율이라는 수단을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서로 조합해 모방한다.

    피리나 키타라 또는 (이를테면 목동이 사용한 피리처럼) 특징과 효과가 비슷한 악기를 위해 만든 곡은 선율과 리듬만 사용하지만, 무용에서는 선율 없이 리듬만 사용해서 모방한다(무용가는 동작으로 나타나는 리듬을 사용해서 성격과 감정과 행위를 모방하기 때문이다). 오직 언어만 사용해서 모방하는 예술도 있는데, 거기에서는 산문이나 운문을 사용한다. 운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여러 운율을 조합하거나, 단일 운율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산문과 운문을 포괄하는 명칭은 아직까지 없다. 한편으로는 소프론과 크세나르코스의 모방극 ⁶, 소크라테스의 대화편을, 다른 한편으로는 단장 3보격 운율 ⁷, 비가 ⁸, 그 밖의 여러 다른 종류의 운율을 사용해 모방한 것을 통칭하는 명칭이 없기 때문이다.

    흔히들 운율의 명칭에 ‘시인’이라는 말을 덧붙여, 비가시인, 서사시인 등으로 부르지만, 그러한 명칭은 그들이 모방을 행한 대상이나 방식이 아니라 사용한 운율에 따라 일률적으로 붙인 것에 불과하다. 그래서 누군가가 의술이나 자연철학에 관해 글을 썼다고 해도 운문으로 썼다면, 그 사람을 시인이라고 부르는 것이 관행이다.

    하지만 호메로스⁹가 쓴 글과 엠페도클레스¹⁰가 쓴 글은 운율 외에는 전혀 공통점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호메로스는 시인이라고 불릴 수 있지만, 엠페도클레스는 시인보다는 자연철학자라고 불려야 옳을 것이다. 따라서 어떤 사람이 온갖 운율을 섞어 모방해서 글을 썼더라도, 우리는 그를 시인이라고 불러야 한다. 카이레몬이 온갖 종류의 운율을 함께 사용해서 쓴 광시곡인 『켄타우로스』가 그러한 예다.¹¹ 이러한 구별에 관해서는 이 정도로 해두자.

    또 디티람보스, 송가¹², 비극, 희극처럼, 앞에서 말한 모든 수단, 즉 리듬과 선율과 운율을 모두 사용하는 예술이 있다. 디티람보스와 송가는 모든 부분에서 이 모든 수단을 동시에 사용하지만, 비극과 희극은 부분적으로만 사용한다는 면에서 서로 다르다.

    나는 이것을 여러 예술 사이의 모방 수단상의 차이라고 부른다.

    1여기에서 로 번역한 그리스어는 ‘포이에티케’(ποιητική)로, 직역하면 ‘만들어낸 것, 창작물’이며 시를 지칭하는 말이다. 이 책 제목인 ‘페리 포이에티케스’(Περὶ ποιητικῆς)는 직역하면 ‘창작물에 관하여’이므로, 시학 또는 시론으로 옮길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서정시나 서사시뿐 아니라, 비극이나 희극도 의 갈래에 넣는다. 시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를 보면 그렇게 분류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다.

    2『시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롯을 단순히 ‘뮈토스’(μῦθος, 이야기)라고 말하거나, 이야기나 사건들의 구성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이 책에서는 그러한 것을 모두 플롯 또는 플롯의 구성으로 옮겼다. 플롯은 여러 사건을 엮어 짜서 구성하는 것이고, 플롯의 결과물을 이야기(story)나 줄거리(storyline)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차이점은 있다. 플롯이 사건의 구성이나 짜임새를 강조한다면, 이야기나 줄거리는 여러 사건이 이어져 있는 것을 가리킨다.

    3디티람보스는 고대 그리스에서 술의 신 디오니소스를 찬양하는 합창으로 신화에 나오는 내용을 노래와 춤으로 표현했다. 이것을 문학 장르로 발전시킨 인물이 기원전 620년경에 활동한 서정시인 아리온이었다. 디티람보스는 디오니소스의 별명이기도 하고, 디오니소스 축제 첫날에 공연되었으며, 기원전 470년경까지 성행했다.

    4피리키타라는 고대 그리스에서 아주 흔히 쓰인 악기로, 피리는 관악기였고, 키타라는 리라를 개량한 현악기였다. 가사가 없는 곡도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가사가 있는 곡만 가리키기 위하여 곡 대부분이라고 했다.

    5모방으로 번역한 그리스어는 ‘미메시스’(μίμησις)다. 미메시스가 모방표현 중 어느 쪽을 가리키는지를 놓고 논쟁이 많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가 특히 이 책 1460a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것을 감안하면 미메시스는 모방에 더 가까워 보인다. 시인은 자기가 직접 나서서 말하는 것을 극히 삼가야 한다. 그러한 행동은 모방하는 사람인 시인이 할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른 시인들은 모방하는 것은 별로, 아니 거의 없으면서, 극 전체에 걸쳐 자신이 직접 나서서 휘젓고 다니지만, 호메로스는 도입부에 해당하는 짤막한 몇 마디 이후로는 곧바로 한 남자나 한 여자, 또는 어떤 다른 인물을 등장시키는데, 등장인물은 한결같이 개성이 뚜렷하다.

    66모방극(그리스어로는 μῖμος, 미모스)은 일상생활의 이런저런 일이나 신과 영웅들의 에피소드를 촌극 형태로 표현한 조잡한 광대극이다. 이전의 모방극은 모두 운문이었지만, 기원전 5세기 말에 시라쿠사 섬에서 소프론과 그의 아들 크세나르코스가 산문으로 썼기 때문에, 여기에서 플라톤이 쓴 소크라테스의 대화편과 함께 산문을 사용한 모방의 예로 나온다.

    7영어의 운율은 강약을 토대로 하는 반면, 고대 그리스의 운율은 음절의 장단을 토대로 했다. 단장 3보격 운율은 단음과 장음 조합을 세 번 반복하는 운율이다.

    8비가는 주로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시인데, 6보격 행과 5보격 행이 결합된 2행 연구(聯句)를 단위로 하는 운율을 사용한다.

    9호메로스는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인으로, 기원전 800-750년 사이에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라는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서사시를 썼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 곳곳에서 호메로스를 극찬한다.

    10엠페도클레스는 고대 그리스에서 기원전 5세기경에 활동한 자연철학자이다. 4원소(물, 공기, 불, 흙)의 사랑과 투쟁을 거쳐 만물이 생겨났다고 주장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가 남긴 『자연론』은 6보격 운율로 쓰였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저작의 예술성을 아주 높이 평가했지만, 그렇다고 해도 그 작품은 시가 아니며 엠페도클레스 역시 시인은 아님을 강조한다.

    11카이레몬은 아리스토텔레스와 동시대인으로, 기원전 4세기에 활동한 아테네 출신 시인이다. 『켄타우로스』에 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켄타우로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테살리아의 왕 익시온과 구름의 여신 네펠레 사이에서 태어난 반인반마 종족이다. 광시곡은 고대 그리스에서 한 번에 낭송하기에 적당한 분량으로 쓰인 짧은 서사시를 가리킨다.

    12송가(그리스어로 νομός, 노모스)는 디티람보스와 마찬가지로 일종의 합창이었다. 그리스의 신들, 특히 공식적으로 아폴론을 찬미하는 성격의 노래였다. 송가는 노래로만 구성된 반면, 비극은 노래와 대사로 구성되어 있었다.

    제2장

    모방 대상

    모방하는 사람¹³은 행위자를 모방하고, 행위자는 고결하거나 천박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모든 사람은 그 성격을 미덕과 악덕으로 구별할 수 있는데 사람은 거의 대부분 두 부류 중 하나에 속한다), 우리보다 낫거나 못하거나 우리와 같은 부류다. 화가에게서도 이것을 볼 수 있다. 폴리그노토스는 우리보다 나은 사람을 그렸고, 파우손은 우리보다 못한 사람을, 디오니시오스는 우리와 비슷한 사람을 그렸다.¹⁴

    따라서 앞에서 말한 여러 종류의 모방에도 이런 차이가 분명히 있으며, 서로 다른 대상을 모방하였기에 서로 다른 종류의 모방이 되었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런 차이는 무용, 피리나 키타라 연주에도 있을 것이고, 산문과 (음악 반주가 없는) 운문에도 있을 것이다. 이를테면, 호메로스는 우리보다 나은 사람을, 클레오폰은 우리와 대등한 사람을, 최초의 풍자시를 쓴 타소스의 헤게몬과 『데일리아스』를 쓴 니코카레스는 우리보다 못한 사람을 모방의 대상으로 삼았다.¹⁵

    이것은 디티람보스와 송가에서도 마찬가지다. 티모테오스와 필록세노스가 키클롭스를 서로 다르게 모방한 것에서 이것을 볼 수 있다.¹⁶ 비극과 희극도 이러한 차이로 구별한다. 희극은 우리보다 못한 사람을 모방하려고 하고, 비극은 우리보다 나은 사람을 모방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13모방하는 사람은 모방이 본질인 모든 예술을 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시인, 무용가, 화가 등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방 예술은 사람의 행위를 모방하는 것이라고 말하는데, 여기에서 행위는 성격과 사상을 드러내는, 목적지향적이고 가치지향적인 행위를 가리킨다. 그 가치는 사물의 본질에 부합하는 미덕과 부합하지 않는 악덕으로 구분된다.

    14폴리그노토스, 파우손, 디오니시오스는 기원전 5세기에 그리스에서 활동한 화가이다. 그중 폴리그노토스가 가장 유명했으며, 이상주의적 성향이 강했다. 파우손은 사실주의적 성향이 강하고 잘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의 『정치학』에서 파우손의 작품은 젊은이가 보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말했다.

    15클레오폰은 고대 그리스에서 기원전 4세기에 활동한 비극시인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문장을 저속하다고 평가했다. 타소스 섬 출신의 헤게몬은 기원전 5세기 말에 아테네에서 활동하면서 서사시를 희화화한 풍자시를 썼다. 니코카레스는 기원전 5세기 말에 고대 그리스에서 활동한 시인으로, 역시 풍자시를 쓴 것으로 보인다. 니코카레스의 『데일리아스』는 겁쟁이를 소재로 한 서사시로 추정한다.

    16키클롭스는 시칠리아 섬에 살던 외눈박이 거인 식인종이었다. 필록세노스는 키클롭스인 폴리페모스를 희화화하여 풍자적인 디티람보스를 썼다. 고대 그리스에서 기원전 5세기 말과 4세기 초에 활동한 서정시인 티모테오스는 키클롭스를 이상화한 시를 쓴 것으로 보인다.

    제3장

    모방

    Enjoying the preview?
    Page 1 of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