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Critique 01

존홍 서울대학교 교수

John Hong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건축 파빌리온의 주요 역할 중 하나가 개념적 틀을 압축적으로 담아내는 것이라면, 조민석의 ‘군도의 여백’(2024)은 그의 근작들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렌즈가 된다. 그의 파빌리온은 내가 ‘군도적 접근’과 ‘여백의 굴절’이라고 지칭한 두 가지 상호 연관된 방식을 통해 특유의 반객체적인(anti-object) 위치를 점한다. 이는 우리가 그의 건축을 관계들이 점진적으로 전개되는 과정으로 경험하게 되는 방식과 관련이 있다. 서로 무관해 보이는 두 프로젝트인 원불교 원남교당(2022)과 오설록농장 티팩토리(2023)에서 이러한 의도를 추적할 수 있다.

군도적 접근 개념은 서펜타인 갤러리 파빌리온(이하 서펜타인 파빌리온)에서 직설적으로 드러난다.다양한 다섯 개 섬들은 하나의 구축적 어휘 안에서 관계를 맺으며 조합되지만, 이 파빌리온을 단일한 객체로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원불교 원남교당은 서로 다른 일곱 개 골목길을 입체적인 도시 흐름과 연결한다. 조민석의 서펜타인 파빌리온이 주변의 중요한 장소들을 오가는 길들을 수렴한 것처럼, 원불교 원남교당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캠퍼스와 넥슨 어린이 통합 케어센터처럼 이전에 단절됐던 필지들 사이에 중요한 흐름을 발생시켜 이를 더 넓은 도시 맥락 속으로 되돌린다.

그렇다고 이 프로젝트들이 형체없이 현장의 조건 속에 용해된다는 뜻은 아니다. 오히려 군도적 접근 방식은 강력한 정면성을 투사하다가

You’re reading a preview, subscribe to read more.

More from Space

Space14 min read
남반구에서 찾은 대안적 건축의 가능성: 2023 샤르자 건축트리엔날레 Alternative Realities for Architecture in the Global South: Sharjah Architecture Triennial 2023
지속적으로 지식을 교환하며 전시를 진행했다는 점이다. 비영구성의 아름다움이라는 주제를 정교하게 발전시키며 '새로워진 맥락(Renewed Contextual)', '추출 정책(Extraction Politics)', '무형의 구체들(Intangible Bodies)'이라는 서로 중첩되는 세 가지 가닥을 설정했다. 새로워진 맥락은 지역의 장소성과 사회문화적 맥락에 기반한 재활용 개념이다. 전통적인 재료와 지역의 폐기물을 현대 건축 생산 방식에 부드
Space11 min read
나이브하고 자율적인 건축의 가능성: 팔라 The Possibilities of Naïve and Autonomous Architecture: fala
2011년 세계 경제위기 직후 포르투갈 포르투에 자리 잡고 건축 활동을 시작한 팔라. 위기에 직면한 도시는 주로 관광 산업에 의존해 낡은 주택들을 개조하기 시작했고, 리스본과 포르투의 역사적 중심지에서 에어비앤비 숙소는 활황을 누렸다. 그렇게 클라이언트가 거주자가 아닌 익명의 투자자나 중개자가 주를 이루는 상황에서 팔라는 역설적으로 새로운 주택 유형을 탐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고, 건축 요소에 집중해 고유의 어휘를 구축하기에 이른다. 그로부터
Space13 min read
건축의 적정함 The Appropriateness of Architecture
이번 프레임을 통해 조윤희(구보건축 대표), 홍지학(충남대학교 교수) 두 사람(이하 구보)과 함께 둘러본 네 작업은 서울의 다양한 도시적 맥락 속에 위치한다. 용도도 지역도 크게 다르지만 이들은 모두 제 위치에서 담담히 각기 다른 표정으로 도시의 일상적 공간 속에 사뭇 비범한 풍경을 만들어낸다. 원래부터 있었다는 듯이 자리 잡고 있지만 두 건축가가 정교하고 영리하게 구축해놓은 새로운 관계의 틀은 천천히 주변과 상호작용하며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을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