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건축의 적정함 The Appropriateness of Architecture

이번 프레임을 통해 조윤희(구보건축 대표), 홍지학(충남대학교 교수) 두 사람(이하 구보)과 함께 둘러본 네 작업은 서울의 다양한 도시적 맥락 속에 위치한다. 용도도 지역도 크게 다르지만 이들은 모두 제 위치에서 담담히 각기 다른 표정으로 도시의 일상적 공간 속에 사뭇 비범한 풍경을 만들어낸다. 원래부터 있었다는 듯이 자리 잡고 있지만 두 건축가가 정교하고 영리하게 구축해놓은 새로운 관계의 틀은 천천히 주변과 상호작용하며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을 보여준다.신아키텍츠 공동대표

각각의 건물은 주어진 조건 속에서 좋은 건축적 해법을 제시하고 이를 일상적 재료로 견고하게 구축하기 위해 고민하고 실천한 결과물이라는 점을 확연히 드러낸다. 영민한 전략과 성실함으로 어렵사리 완성된 작업들은 도시의 한 켠에서 조용히 새로운 지표를 세운다. '적정 건축'이란 이름으로 사무소를 개소할 뻔했다는 이야기에서 엿볼 수 있듯 구보의 지향점은 명확하다. '알맞고 올바른 정도'를 뜻하는 이 단어에서 구보의 작업을 이해하는 단서를 찾아본다. 절대적인 가치가 아닌 기준 대상이 있는 상대적 가치를 정의하는 단어임에 주목하자.

전체와 부분

도시는 개인과 다수의 욕망이 만나는 곳이다. 이곳에서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을 어떻게 정의하고 틀을 구성하느냐는 중요한 과제이자 건축가의 태도를 잘 드러내는 부분이다. 상업화가 가속되고 있는 다세대주택가, 한강과 철도시설 사이 오랫동안 고립된 주거지역, 역세권 번화가, 아파트 단지로 둘러싸인 근린공원. 네 프로젝트의 도시적 맥락은 서울을 이루는 전형적인 도시 조직의 유형을 모아놓은 듯 서로 다르지만 일반적이다. 포화상태가 된 지 오래인 서울에서 구보의 근작은 개축, 대수선, 용도 변경, 증축 등 기존 틀을 변형해야 하는 프로젝트들이다. 이들은 도시의 부분으로서 작동하고 있음을 전제로 존재한다. 따라서 고민의 시작은 관계의 틀을 재설정하는 데

The four recent works explored with Cho Yoonhee (principal, GUBO Architects) and Hong Jihak (professor,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for this FRAME are all located in different urban contexts within Seoul. Although they are quite different in terms of their uses and zoning, they all take on different expressions in their locations, creating unique scenes within our city's everyday spaces. Their works seem to have stood there for a long time, but the new framework of relationships that has been meticulously and intelligently constructed by the two architects (hereinafter GUBO) reveal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change by slowly interacting with one's surroundings.

All of the projects have clearly resulted from sustained thought and practice aimed at a good architectural solution for the given conditions and at solid construction using everyday materials. Completed with clever strategic

You’re reading a preview, subscribe to read more.

More from Space

Space11 min read
느슨한 정교함 Loose Precision
건축은 어떻게 시작하여 마무리되는 것일까. 설계의 시작은 대개의 경우 커다란 윤곽에 대한 아이디어에서 출발한다. 지역의 맥락에 대한 해석과 건물의 형상과 땅에 앉히는 방식에서부터 점차 작은 스케일로 옮겨간다. 물론, 사소한 디테일로부터 작업의 실마리를 찾는 경우도 있으나, 흔하게 경험하기는 어려운 방식이다. 두꺼운 색연필의 모호한 선에서 시작하여, 일대일의 스케일로 줌-인할 수 있는 캐드 프로그램 속 디지털화된 선까지, 건축이란 결국 스케일의
Space14 min read
남반구에서 찾은 대안적 건축의 가능성: 2023 샤르자 건축트리엔날레 Alternative Realities for Architecture in the Global South: Sharjah Architecture Triennial 2023
지속적으로 지식을 교환하며 전시를 진행했다는 점이다. 비영구성의 아름다움이라는 주제를 정교하게 발전시키며 '새로워진 맥락(Renewed Contextual)', '추출 정책(Extraction Politics)', '무형의 구체들(Intangible Bodies)'이라는 서로 중첩되는 세 가지 가닥을 설정했다. 새로워진 맥락은 지역의 장소성과 사회문화적 맥락에 기반한 재활용 개념이다. 전통적인 재료와 지역의 폐기물을 현대 건축 생산 방식에 부드
Space2 min read
SPACE Peer Review
좀 더 정확하게 이해 하겠습니다 좀 더 다양하게 접근 하겠습니다 좀 더 공정하게 판단 하겠습니다 월간 「SPACE(공간)」는 이 시대 한국 건축의 창조성과 독자성을 세계에 알리고, 현대건축의 혁신적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매달 건축 작품 게재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SPACE」는 게재를 의뢰한 국내외 모든 건축 작품에 대해 피어 리뷰를 진행하여 다양하고 전문적인 관점으로 작품 게재를 공정하게 결정하려고 합니다. 피어 리뷰에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