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태도가 건축이 될 때 When Attitude Becomes Architecture

조항만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건축대학원에서 수학했다. 경영위치 건축사사무소, 아이아크 건축사사무소, 뉴욕의 그린버그패로우 아키텍처에서 실무를 거친 후, 뉴욕 H 아키텍처의 설립에 참여해 디자인을 총괄했다. 2013년부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지영과 함께 탈건축의 공동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세종시 중심행정타운 마스터플랜, 정부세종청사 1-1, 2-2, 2012 여수엑스포 국제관, 한국수력원자력 경주 화백 컨벤션센터 등이 있다. 2010 WAN 올해의 건물상, AIANY 디자인 어워드(2009, 2010), 김수근건축상 프리뷰상(2016),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 준공 부문 본상(2018), 우수상(2021) 등을 수상했다.

Zo Hangman studied at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at Columbia University. After working at KYWC Architects, iarc, and GreenbergFarrow in New York, he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H Architecture and oversaw the design. Since 2013, he has been serving a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has been working as a co-principal at TAAL Architects with Seo Jiyoung. His major works include the Sejong Public Administration Town Master Plan, the Government Complex Sejong 1-1, 2-2, the 2012 Yeosu Expo International Pavilion, and the Korea Hydro & Nuclear Power Gyeongju Hwabaek Convention Center. In addition, he won the 2010 WAN Building of the Year Award, AIANY Design Awards (2009, 2010), Kim Swoo Geun Preview Award (2016), and Korea Wood Design Awards (2018, 2021).

데이터센터라는 건축의 의미

인간 중심적으로 말하자면 세계는 오직 세 가지로 구성된다. 첫째, 세계를 인식하는 주체인 인간. 둘째, 인식의 대상이자 객체로서의 모든 사물과 사건. 셋째, 그리고 이 모든 것을 감각기관으로 감지하여 인간의 뇌 속에서 재구축된 세계. 세계를 이루는 모든 것은 이런 세 가지 범주로 나뉜다. 인간은 진짜 세계를 결코 알 수 없다. 캄캄한 해골 속, 그리 썩 좋은 상태가 아닌 뇌로 재구성한 세계를 실재라 믿으며 살아가는 인간은 그 존재 자체가 역설이다.

한편, 세계가 지속하는 한 필연적으로 데이터는 발생한다. 머지않은 미래, 지구상의 모든 정보는 어떤 곳으로 모이고 저장되고 처리되고, 다시 발신되어 소비될 것이다. 그곳이 바로 데이터센터다. ‘세계의 재구성’이라는 시각에서 보면 데이터센터는 인간의 뇌와 유사한 위상을 점유한다. 대부분의 다른 건축물과 달리 데이터센터는 인간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서버라는 사물을 위한 집’이다. 현대에 접어들면서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물류창고, 자동화 공장 등 사물을 위한

You’re reading a preview, subscribe to read more.

More from Space

Space20 min read
재생의 시대, 연희동의 변화가 말하는 것 The Era of Regeneration: What Yeonhui-dong’s Transformation Says About Us
고즈넉하고 담장 높은 주택가, 정치인이 사는 동네, 취향 좋은 카페나 맛집이 많은 골목상권. 세대마다 또 관심사에 따라 연희동 하면 떠올리는 인상이 조금씩 다르겠지만 연희동의 풍경과 변화는 서울의 여러 동네들이 뜨고 지는 가운데서도 흥미롭다. 특히 오래된 주택의 리노베이션이 주목받고 도시 건축 유형의 다양성이 아쉬운 지금, 대중과 호흡하며 자생적으로 변화하는 동네의 풍경은 도시・건축계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이에 연희동에서 여러 작업을 한 김종
Space3 min readArchitecture
논현동 근린생활시설 nnhn73
논현동 근린생활시설은 강남 메가블록의 이면도로가 교차하는 모서리 땅에 위치한다. 인근 동네는 팬데믹 이후 최근 몇 년간 신축 붐이 이어지면서 저마다 디자인 의지가 뚜렷한 건물들이 줄지어 들어서고 있었다. 우리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건물과 도시의 모서리를 다루는 방식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건축 임대 시장에서 경쟁하는 화려한 건물들이 줄지어선 동네의 맥락은 개구부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택하게 했다. 흰 벽이 도드라지는 입면이 절곡되며 모서리를 따라
Space11 min read
나이브하고 자율적인 건축의 가능성: 팔라 The Possibilities of Naïve and Autonomous Architecture: fala
2011년 세계 경제위기 직후 포르투갈 포르투에 자리 잡고 건축 활동을 시작한 팔라. 위기에 직면한 도시는 주로 관광 산업에 의존해 낡은 주택들을 개조하기 시작했고, 리스본과 포르투의 역사적 중심지에서 에어비앤비 숙소는 활황을 누렸다. 그렇게 클라이언트가 거주자가 아닌 익명의 투자자나 중개자가 주를 이루는 상황에서 팔라는 역설적으로 새로운 주택 유형을 탐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고, 건축 요소에 집중해 고유의 어휘를 구축하기에 이른다. 그로부터

Related Books & Audio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