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특별하고 보편적인, 모두를 위한 환경: 모두예술극장 A Distinctive and Universal Environment for All: Modu Art Theater

2023년 10월, 서대문구 충정로의 구세군빌딩 1̴3층 공간에서 재단장을 마친 모두예술극장이 개관했다. 국내 최초의 장애예술인 표준공연장이라는 희망찬 소개와 함께였다. 모두예술극장의 이름은 장애 여부와 관계없이 누구나 향유할 수 있고, 모든 형태의 예술이 모이는 공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모두를 위한 표준은 어떻게 존재할까? 건축가 최태산(디자인그룹오즈건축사사무소 공동대표)이 풀어낸 특별하지만 보편적인 공간 속에서 ‘모두’를 위한 건물 환경이 추구할 ‘표준’의 실마리를 찾아본다.

In October 2023, the Modu Art Theater opened, a refurbishment project taking the first to third floors of the Salvation Army building located in Seodaemun-gu near Chungjeongno station. It was introduced with the hopeful message praising its status as the first performance venue in Korea for disabled artists. The name Modu Art Theater suggests a space that everyone can enjoy, regardless of their disability, and where all forms of art converge. How can a standard for performance spaces be established that accommodate all needs? The Architect Choi Taesan (co-principal, designgroup OZ) explores one clue to the ‘standard’ that a building environment for ‘modu (all)’ can pursue within a space that is special yet universal.

윤예림(윤): 지난해 10월 구세군빌딩 내 공연시설을 리모델링한 모두예술극장이 문을 열었다. ‘장애예술 공연장 리모델링 제안공모’(2021)를 통해 추진된 사업이다. 공모에 참여하게 된 계기와 주요 과제가 무엇이었는지 궁금하다.

최태산(최): 2018년 평창 동계패럴림픽 접근성 개선사업(「SPACE(공간)」 605호 참고)에 참여하면서 유니버설 디자인을 관심 있게 연구하기 시작했다. 패럴림픽 개최를 앞두고 평창, 정선, 강릉 지역의 음식점, 숙박시설 등 민간시설 200여 곳을 대상으로 진입부와 화장실 등의 접근성을 개선하는 사업이었다. 작게는 5cm부터 30cm가량의 단차를 경사로로 대체하고 출입문을 자동문으로 변경하는 등 크지 않은 개선이었지만, 각 사업장마다 한 분 한 분 시각 자료를 보여주고 설득해가면서 건물 하나를 짓는 것만큼이나 많은 품을 들였던 기억이 있다. ‘장애예술 공연장 리모델링 제안공모’는 문화체육관광부 유관 기관인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에서 실시한 공모다. 구세군빌딩 1층부터 3층까지 공연장과 오피스 공간을 리모델링해, 장애예술 및 장애예술인에 특화된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충청로역 인근에 자리한 구세군빌딩은 입지적인 접근성은 훌륭했지만 내부는 이동 약자가 이용하기에 불편함이 많았다. 공연장은 공연장대로, 오피스는 오피스대로 분절된 프로그램과 공간들이 마치 섬처럼 분포했고 공용부는 폐쇄적인 느낌이 강해 열린 공간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가장 중요한 공연장은 대부분의 국내 공연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프로시니엄 극장 구조로, 1.2m 높이의 무대가 설치돼 있었다. 평창에서 5cm 단차를 넘었다면 이번에는 1.2m

You’re reading a preview, subscribe to read more.

More from Space

Space1 min read
Space
제출 및 문의 spaceacademia00@gmail.com 02-396-3359 편집위원장 김성홍(서울시립대학교) 이상헌(건국대학교) 정만영(서울과학기술대학교) 편집위원 강혁(경성대학교) 김현섭(고려대학교) 박진호(인하대학교) 송하엽(중앙대학교) 아라티 카네카(미국 신시내티 대학교) 마크 자르좀벡(미국 MIT) 장용순(홍익대학교) 정인하(한양대학교) 정현태(미국 리하이 대학교) 조성용(광운대학교) 최원준(숭실대학교) 존 페포니스(미국 조지아
Space13 min read
서울의 땅과 물, 이야기를 잃지 않으려면: 백운동천 물길공원 계획안 Preserving the Land, Water, and Stories of Seoul: The Baegundongcheon WaterWay Park Masterplan
서울 한복판, 경복궁을 뒤로하고 조금만 길을 오르면 창의문 기슭에서 흘러내려오는 백운동천과 대한제국 시절의 독립운동가 집터가 있다. 비록 물길은 도로 밑에 묻혔고 집은 그 터만 남아 지금은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지만 이곳 생태와 역사를 복원하는 일이 서울의 정체성을 되찾는 일이라 주장하는 사람이 있다. 지난 2월, 「SPACE(공간)」 편집부에 걸려온 한 통의 전화에 허서구(허서구건축사사무소 대표)를 만났다. 그의 말에 따르면 백운동천 일대는 현
Space14 min read
공간의 고유한 시간을 꺼내어 보편으로: 한 & 모나 Extracting the Unique Time of Space into Universality: Han & Mona
한 & 모나는 리서치를 통해 공간의 누적된 시간과 서사를 충분히 헤아리고 난 뒤, 물질적 요소뿐 아니라 빛과 소리, 냄새와 같은 비물질 요소들을 이용해 공간의 서사를 재설계한다. 그들의 작품 안에 들어갈 때, 작품에 대한 이성적 비평에 앞서 신체적・감정적 감각이 먼저 반응하는 이유다. 그들이 해석하는 장소와 건축은 무엇인지, 작품으로의 이행은 어떤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지 들어보았다. After achieving a more thorough u

Related Books & Audio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