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경계 없는 미래의 캠퍼스를 구상하다 Envisaging the Borderless Campus of the Future

지하캠퍼스 구상의 배경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는 2만 2천여 명의 재학생이 26만 9,679m2의 공간을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용적률이 199.7%로 법정 용적률을 모두 소요하여 더 이상 건축할 수 있는 지상 면적이 없다. 서울캠퍼스 건물의 30%가 지어진 지 50년 이상된 노후 건축물로 리모델링이나 신축 시, 가용할 수 있는 공간이 없는 상태로, 서울 소재 대학 중 가장 밀도가 높다. 이렇게 좁은 캠퍼스 환경 속에서 공간에 대한 수요는 점점 커지고, 그 대안으로 큰 규모의 지하캠퍼스를 구상한 것이 이 공모의 현실적인 배경이자 출발이다.

서울시는 2023년 도시계획조례를 개정해 대학의 용적률을 현행 대비 1.2배까지 완화해 산학혁신시설, 미래인재 육성시설, 그리고 지역 기여시설을 조성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대학들이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지역사회에서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게 하려는 취지다. 뉴홍익 국제지명설계공모는 이러한 배경으로 서울캠퍼스의 부족한 공간을 해소하는 것을 넘어 대학과 도시의 물리적 경계를 허물고, 자연과 도시의 단절을 공간적 재생을 통해 연결하며, 공동체에 기여하는 대학을 구현한다는 목표를 가지게 되었다.

홍익대학교는 지난 반세기 동안 미술과 건축 분야에서 국내외의 수많은 선도적인 예술가와 건축가를 배출해온 교육기관이다. 또한 ‘홍대'로 불리는, 서울의 문화와 예술을 상징하는 거대한 지역의 중심 대학이다. 그리하여 홍익대학교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미술관, 박물관, 미술도서관, 공연 공간을 명실상부한 지역문화의 거점이자, 한국 예술의 지속적인 성장판 기능을 하는 새로운 문화 예술 공간으로 기획했다.

이제 대학은 기술적 변화와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첨단 기술의 변화에 적응하고 발전해야 한다. 산학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공학 연구실 및 첨단 실험 공간은 미래 대학의 핵심 기능 중 하나가 될 것이다. 그러나 초저출산으로 인해 학령인구는 급격히 감소하고, 팬데믹 이후 물리적 공간에 대한 인식 또한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공학, 예술, 인문 등 학제 간의 경계, 대학과 지역사회 간의 경계, 더 나아가 교육 공간, 문화 공간 및 상업 공간이 서로 경계가 없는, 다양한 전공의 협동과 융합, 교류를 독려하는 캠퍼스를 요구하게 될 것이다. 설사 이러한 요구 아래 기획된 프로그램 공간이라 해도 그 성격 또한 항구적일 수 없으며, 끊임없는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융통성을 요구한다. 이는 새로운 시도를 넘어 대학의 의미와 지속적인 기능을 위해 불가피한 고민이며, 이 사업을 추진하게 된 또 하나의 배경이다.

(88쪽) OMA의 당선안 (p. 88) The winning entry of OMA

국제적인 심사위원과 건축가 초청

이 사업은 2022년 12월 서울시의 대학도시계획 지원 방안의 발표에 발맞추어 시작됐다. 홍익대학교는 2023년 2월 혁신성장캠퍼스를 위한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자체적으로 국제공모 추진위원단을 구성해 준비하고 운영해왔다. 건축도시대학 교수인 김수란, 박정환, 맹필수, 마승범, 정윤천, 과학기술대학 교수인 임진우, 이성재가 전문위원으로 참여해, 매주 전문위원회의를 진행했다. 뉴홍익 국제지명설계공모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심사위원단의 구성이다. 현재 대학 캠퍼스가 가진 많은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해결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투자로 건축 제안을 바라보고 혁신적인 공간 제안을 채택하고자 했다. 경험해보지 못한 미래의 대학과 도시, 산업과 예술을 품는 새로운 미래 교육 환경에 대한 제안을 함께 고민하는 장을 만들기 위한 심사위원단이 필요했다. 2023년 4월 이토 도요(도요 이토 & 어소시에이츠 대표, 심사위원장), 사라 와이팅(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원(GSD) 학장), 에마뉴엘 크리스트(취리히 공과대학교 교수), 존홍(서울대학교 교수), 강미선(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다니엘 바예(다니엘바예건축 대표), 임채진(홍익대학교 부총장)으로 심사위원단을 구성했다.

이번 공모의 특징은 두 가지다. 첫째, 서로 상이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용하는 단일한 건축 공간을 제안하는 것이다. 대학이 요구하는 프로그램은 미술관, 미술도서관, 미술교육 공간, 공연장, 종합 강의동, 첨단 실험실, 산학협력 메이커스페이스, 상업 공간 등이다. 이 중 많은 공간은 학생뿐 아니라 기업체와 지역주민들이 주로 사용하는 공간이다. 평생교육과 예술 아카이브, 전시, 공연, 도서관 및 상업 공간의 기능은 교과과정 외의 기능들로, 대학을 도시민에 대한 교육 및 문화 향유 시설로 확장한다. 단일한 건축 공간 내에서 이러한 다양한 공간을 구성하는 방식은, 이 공간들 사이의 관계와 이에 대한 해법을 우리 대학만의 매트릭스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각 공모자의 창의적인 해법을 공모 과정에서 도출시키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최대한 공간구성에 유동성을 부여하고자 했다.

또 하나는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가 와우산으로부터 도시로 흘러내리는 경사 지형의 중간에 위치한다는 지형적 특징이다. 대상 부지는 자연과 도시가 연결되는 다양한 방식의 건축적 제안을 기대하게 한다. 지상부의 용적률 완화 면적인 3만 5,000m2의 공간에 대한 형태적 가이드라인 또한 다양한 토폴로지를 제안할 수 있도록 열어놓았다. 실제로 공모 제출안들의 프로그램 믹스와 전체 공간의 건축적 해결 방법은 모두 상이했다. 형태적, 공간적인 다양성뿐만 아니라, 프로그램들의 관계와 자연과 도시의 연결 방식에서 차별화된 제안들이 제시됐다.

2023년 5월에는 홍익대학교 건축 관련 교수진과 국내외 건축 단체가 추천한 건축사무소 200여 개사에 대한 심사를

You’re reading a preview, subscribe to read more.

More from Space

Space3 min readArchitecture
논현동 근린생활시설 nnhn73
논현동 근린생활시설은 강남 메가블록의 이면도로가 교차하는 모서리 땅에 위치한다. 인근 동네는 팬데믹 이후 최근 몇 년간 신축 붐이 이어지면서 저마다 디자인 의지가 뚜렷한 건물들이 줄지어 들어서고 있었다. 우리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건물과 도시의 모서리를 다루는 방식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건축 임대 시장에서 경쟁하는 화려한 건물들이 줄지어선 동네의 맥락은 개구부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택하게 했다. 흰 벽이 도드라지는 입면이 절곡되며 모서리를 따라
Space13 min read
사사롭고 유익한: 서준혁, 최세진 Trivial yet Novel: Seo Junhyuk, Choi Sejin
'오늘의 건축가'는 다양한 소재와 방식으로 저마다의 건축을 모색하는 젊은 건축가를 만나기 위해 기획됐다. 그들은 무엇을 좋아하고, 탐색하고, 고민하고 있을까? 「SPACE(공간)」는 젊은 건축가와 대화를 나누면서 그들을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기보다는 각자의 개별적인 특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인터뷰는 대화에 참여한 건축가가 다음 순서의 건축가를 지목하면서 이어진다. 'I am an Architect' was planned to meet young
Space4 min read
Project 02
설계 설계매스스터디스(조민석, 박기수) 설계담당 강준구, 천범현, 임재휘, 구본석, 하혜림, 홍성범 설계 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 해평리 용도 근린생활시설 대지면적 23,812.6m2 건축면적 423m2 연면적 423m2 규모 지상 1층 높이 7.05m 주차 2대 건폐율 1.78% 용적률 1.78% 구조 철골조 외부마감 투명단열복층유리, 컬러콘크리트, 탄화목, 우레탄페인트 내부마감 회벽, 타일, 아라우코 합판, 모시 스크린 구조설계 (주)하모니구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