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FRAME: essay

인 간 환 경 시 대 와 호 흡 하 는 건 축 Yoo Ehwa principal, ITM YOOEHWA ARCHITECTS

유이화 ITM유이화건축사사무소 대표 Architecture That Breathes Alongside Humans, Nature, and the Era

호흡하는 건축

유기체로서 건축은 인간, 자연, 도시 환경과 관계를 맺으며 생명력을 갖게 되는데 나는 이것을 호흡에 비유한다. 흔히 우리는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호흡’이라는 표현을 사용는데 긴밀한 관계를 맺는 경우에만 쓰이는 단어다.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팀워크를 이야기할 때 ‘호흡을 맞춘다’고 표현하는 것과 같다. 건축은 결코 독립적 유기체로 존재할 수 없다. 인간, 주변 환경 등과 관계를 이루면서 존재의 이유와 가치가 생긴다. 호흡이 곧 생명력이라고 전제한다면, 건축과 환경의 관계에서나 인간과 건축의 관계에서도 균형 있게 호흡이 잘 맞아야 건강한 생명력을 갖게 된다. 자연스레 공기를 들이마시고 내쉬며 호흡하듯, 그 모든 관계가 공기의 흐름과 같이 매끄럽고 자연스러울 때 비로소 우리는 그 건축 안에서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건축가의 태도

‘건축은 문화적으로 사회적으로 어떤 영향력을 끼치는가’ 하는 질문의 답은 건축가의 태도에서 나온다. 연주자나 성악가들이 “내 몸은 악기다”라는 표현을 많이 하는데, 곡을 연주하는 데 악기 자체가 주인공이 될 수 없듯, 건축가를 연주자에 비유하면 건물 자체가 오브제로서 주인공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세상에 건축이라는 아름다운 음악을 남길 때 건축가는 그저 악기일 뿐이다. 이때 상황에 따라 취해야 하는 건축가의 태도는 매우 다양할 것이다. 이를 고민했던 사례로 유동룡미술관(2022)을 언급하고 싶다. 제주에 지어진 유동룡미술관은 세상을 떠난 건축가 이타미 준의

You’re reading a preview, subscribe to read more.

More from Space

Space20 min read
재생의 시대, 연희동의 변화가 말하는 것 The Era of Regeneration: What Yeonhui-dong’s Transformation Says About Us
고즈넉하고 담장 높은 주택가, 정치인이 사는 동네, 취향 좋은 카페나 맛집이 많은 골목상권. 세대마다 또 관심사에 따라 연희동 하면 떠올리는 인상이 조금씩 다르겠지만 연희동의 풍경과 변화는 서울의 여러 동네들이 뜨고 지는 가운데서도 흥미롭다. 특히 오래된 주택의 리노베이션이 주목받고 도시 건축 유형의 다양성이 아쉬운 지금, 대중과 호흡하며 자생적으로 변화하는 동네의 풍경은 도시・건축계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이에 연희동에서 여러 작업을 한 김종
Space1 min read
Space
PUBLISHER & EDITOR 황용철 Hwang Yongcheol EDITOR-IN-CHIEF 김정은 Kim Jeoungeun (lalart@spacem.org) EDITOR 방유경 Bang Yukyung (thirdroom@spacem.org) 박지윤 Park Jiyoun (space1125@spacem.org) 윤예림 Youn Yaelim (yaelimyoun@spacem.org) 김지아 Kim Jia (lifestremin@spacem
Space11 min read
나이브하고 자율적인 건축의 가능성: 팔라 The Possibilities of Naïve and Autonomous Architecture: fala
2011년 세계 경제위기 직후 포르투갈 포르투에 자리 잡고 건축 활동을 시작한 팔라. 위기에 직면한 도시는 주로 관광 산업에 의존해 낡은 주택들을 개조하기 시작했고, 리스본과 포르투의 역사적 중심지에서 에어비앤비 숙소는 활황을 누렸다. 그렇게 클라이언트가 거주자가 아닌 익명의 투자자나 중개자가 주를 이루는 상황에서 팔라는 역설적으로 새로운 주택 유형을 탐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고, 건축 요소에 집중해 고유의 어휘를 구축하기에 이른다. 그로부터

Related Books & Audio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