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REAWAKENING THE TACTILE: ‘HERMÈS’ COLLECTIONS FOR THE HOME 2021 ‒ 2022’

The exhibition, ‘Hermès’ Collections for the Home 2021 ‒ 2022’, which placed an emphasis on the furniture and objects that explore tactile sensations, was on show at Maison Hermès Dosan Park from Oct. 14 to. The furniture, which has a wooden structure and a Cellulose Microfiber finish, is completed with meticulous paint work, visibly applied stroke-by-stroke. The vertical line pattern added to this organic form not only presents a certain exoticism but also an undulating tactile sensation. is a stone table. It appears to be made of two stone pieces, but it is in fact cut from a single form. The countless lines on the surface were carved deliberately by a stonemason with a ruler. This delicate and masterful treatment, the aesthetic properties of the original material are heightened to new level. The neighbouring work is an enameled copper dish ; enameled copper is created by covering copper sheets in enamel via stencils, thus creating a sub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aterials. The cold metal and vibrant colouring also resembles a cloisonné. The remaining three rooms were occupied by original works such as Gianpaolo Pagni’s tableware and cashmere plaid. As we gradually move into a world of greater virtual interaction owing to continuing technological advancement, the tactile experience has taken on new value. In that sense, this Hermès Home Collection appears to revive that dulled sense of touch through showcasing various materials.

You’re reading a preview, subscribe to read more.

More from Space

Space1 min read
Space
제출 및 문의 spaceacademia00@gmail.com 02-396-3359 편집위원장 김성홍(서울시립대학교) 이상헌(건국대학교) 정만영(서울과학기술대학교) 편집위원 강혁(경성대학교) 김현섭(고려대학교) 박진호(인하대학교) 송하엽(중앙대학교) 아라티 카네카(미국 신시내티 대학교) 마크 자르좀벡(미국 MIT) 장용순(홍익대학교) 정인하(한양대학교) 정현태(미국 리하이 대학교) 조성용(광운대학교) 최원준(숭실대학교) 존 페포니스(미국 조지아
Space8 min readArchitecture
비기너: 빅이너 Beginners: BIG(INNER)S
Kim Dongil + I.f Architecture & Research 김동일 + 아이에프건축연구소 미사누리공원은 하남 미사강변도시를 관통하는 공원으로, 미사호수공원을 한강과 연결하는 척추와 같은 도심 속 녹지다. 대지는 공원 끝자락으로 진입하는 코너에 위치한다. 두 세대가 함께 사는 주택이자 음향 감독인 주인 세대의 사옥으로 사용될 이 건물은 길모퉁이에서 어떤 자세로 공원 입구의 인상이 되는 풍경을 만들 것인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했다. 먼
Space3 min readArchitecture
이촌동 공유오피스 Ichon Coworking Office
출판사를 운영하는 건축주는 총 29세대 규모의 다세대주택 두 동을 리모델링해 독서문화와 연계된 공유오피스를 짓고자 했다. 기존 다세대주택은 주차장과 근린생활시설이 자리한 저층부가 라멘조로, 주거 유닛들이 집합한 상층부는 벽식 구조로 설계되어 있었다. 방과 방 사이를 구획하는 벽체는 대부분 주요 구조부였기 때문에, 작은 방들이 단위를 이루며 연속된 모습은 변경할 수 없는 설계 조건이었다. '이 공간적 특질을 공유오피스라는 새로운 기능으로 어떻게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