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News

로컬리티를 재정의하기 위한 시도: <이것은 부산이 아니다: 전술적 실천>

이덕언 학생기자

로컬리티와 글로컬. 오래전부터 인지해오던 시대적 문제를 지적하며 나온 말이지만 뚜렷한 정책이나 변화 없이 단어만 언급됐던 탓일까? 이 단어들은 등장 당시 품고 있던 높은 꿈과 기대를 제대로 대변하지 못하는 듯하다. 부산현대미술관에서 열리는 전시 <이것은 부산이 아니다: 전술적 실천>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로컬리티란 무엇인가? 우리는 무엇을 잘못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전시는 일곱 가지의 소주제를 각각 '전술'이라 칭하는데 여기서 쓰인 전술은 기존의 담론을 수용하면서도 '빈틈과 맹점을 이용하는 술수'라는 뜻을 내포한다. 지금껏 로컬리티가 지나온 과거를 돌아보면서도 새롭게 나아가고자 하는 마음이 담겨 있는 것이다.

기억은 과거, 현재, 미래가 얽힌 혼돈스러운 조각 모음이며, 장소에 대한 기억은 다양한 감각으로 뒤섞여 표현될 수 있다. 이 섹션에 속한 '내재성'은 건물의 외벽에서 벗겨낸 껍질, 빈집의 벽지, 내장재, 어느 집의 창문에서 잘라낸 낡은 모기장 등 거리에서 채집한 다양한 흔적들을 캔버스에 옮긴 작업이다. 작가는 거리의 흔적들을 자신의 의도에 따라 조작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레진으로 굳히는 방식을 택한다. 작가 자신은 작품에서 한 발 물러나고 사물들을 주체로 만들어 사물, 기억, 장소의 연결고리를 더욱 선명하게 만든다.

'전술5: 불안-조율-공존'에서 다뤄진 '간극의 파장'은 10m 높이의 천장에 쇠사슬로 매달린 의자 그네 네 개를 설치한 작품이다. 설치된 의자 그네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어 누구나 쉽게 앉아 탈 수 있지만, 혼자 앞을 가로막는 다른 의자를 피해 움직이는 것은 쉽지 않다. 그네를 탄 사람 간의 적절한 조율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그네 타기는 로컬리티를 상징한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그네를 탈 수 없다. 혼자만 독단으로 움직여도 그네를 탈 수 없다. 공동의 조율을 거쳐야만 그네를 탈 수 있다. 움직임이라는 행위와 조율이라는 시도는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피해를 감수하게 하지만, 그네를 타기 위해서는 꼭 거쳐야 하는 행위다. 작가는 개별 주체가 갈등을 피하지 않고 받아들이며, 주변의 것들과 조율을 통해 만든 로컬리티에 주목한다. 그에 따르면 로컬리티는 어느 한 주체에게 귀속된 것이 아니라 공존하는 것이며, 그것이 곧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전시는 7월 7일까지 계속된다.

Efforts to Redefine Locality: This Is Not Just Local: Tactical Practices'

by Lee Deokeon

Locality and glocal. These words point to a problem that has been recognised for a long time, but are they just words without either a clear policy or a plan for change? It seems that these words do not adequately represent the lofty dreams and expectations that were set in motion when they first appeared. The exhibition This Is Not Just Local: Tactical Practices' held at Busan Museum of Contemporary Art raises awareness of this issue and asks the question of what local is, and what we might be doing wrong. Each of the seven subtopics is called a 'tactic', which implies that it is a technique that utilises gaps and blind spots while accepting existing discourses. The exhibition captures a mindset of moving forward, reflecting on the past journey of locality while striving for new directions. Under this mindset, various artists based in Busan participated, each attempting to explore and redefine the meaning of locality in their own way.

The exhibition saw 51 artists (teams) participating, with diverse formats such as game media, painting, film, and performance. Immanence, the work of Yang Jazoo, has both elements of painting and sculpture, while the installation work Traveling of Gap, by Seo Minjeong, encourages audience participation. Tactics 2: Embodied memory' is about the interaction between memory and place. Memory is depicted as a chaotic collection of fragments intertwined with the past, present, and future, while place can be expressed through various senses. Immanence, in this section, is a work that involves transferring various traces collected from the streets, such as peels from the exterior of buildings, wallpaper from vacant houses, interior materials, and worn mosquito nets cut from the windows of random houses, onto canvas. To minimise the manipulation of the traces from the streets according to the artist's intentions, a method of solidifying with resin was chosen. The artist steps back and allows the objects to become the subjects, thus making the connections between objects, memories, and places more distinct.

Seo Minjeong's of Gap, featured in Tactics 5: AnxietyCoordination-Coexistence', is an artwork that consists of four swing chairs suspended from a 10m-high ceiling by chains. The installed swing chairs face different directions, allowing anyone to sit and swing easily, but it is challenging to move around, with the other chairs blocking the way. Proper coordination between those on the swings is necessary. This swinging symbolises locality. Without any action, one cannot swing. Even if one moves alone, the other cannot swing. There must be a collective coordination in order to make swinging possible. Movement and the attempt to coordinate induces stress and entails risks, but swinging is an essential action. The artist emphasises the acceptance of conflicts by individual subjects and highlights the locality created through coordination with the surroundings. According to this perspective, locality does not belong to any single entity, but is a coexistent one, and that is the direction we should pursue. The exhibition continues

You’re reading a preview, subscribe to read more.

More from Space

Space3 min readArchitecture
논현동 근린생활시설 nnhn73
논현동 근린생활시설은 강남 메가블록의 이면도로가 교차하는 모서리 땅에 위치한다. 인근 동네는 팬데믹 이후 최근 몇 년간 신축 붐이 이어지면서 저마다 디자인 의지가 뚜렷한 건물들이 줄지어 들어서고 있었다. 우리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건물과 도시의 모서리를 다루는 방식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건축 임대 시장에서 경쟁하는 화려한 건물들이 줄지어선 동네의 맥락은 개구부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택하게 했다. 흰 벽이 도드라지는 입면이 절곡되며 모서리를 따라
Space2 min read
SPACE Peer Review
좀 더 정확하게 이해 하겠습니다 좀 더 다양하게 접근 하겠습니다 좀 더 공정하게 판단 하겠습니다 월간 「SPACE(공간)」는 이 시대 한국 건축의 창조성과 독자성을 세계에 알리고, 현대건축의 혁신적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매달 건축 작품 게재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SPACE」는 게재를 의뢰한 국내외 모든 건축 작품에 대해 피어 리뷰를 진행하여 다양하고 전문적인 관점으로 작품 게재를 공정하게 결정하려고 합니다. 피어 리뷰에
Space13 min read
건축의 적정함 The Appropriateness of Architecture
이번 프레임을 통해 조윤희(구보건축 대표), 홍지학(충남대학교 교수) 두 사람(이하 구보)과 함께 둘러본 네 작업은 서울의 다양한 도시적 맥락 속에 위치한다. 용도도 지역도 크게 다르지만 이들은 모두 제 위치에서 담담히 각기 다른 표정으로 도시의 일상적 공간 속에 사뭇 비범한 풍경을 만들어낸다. 원래부터 있었다는 듯이 자리 잡고 있지만 두 건축가가 정교하고 영리하게 구축해놓은 새로운 관계의 틀은 천천히 주변과 상호작용하며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을

Related Books & Audio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