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10 YEARS OF DESIGN COMPETITIONS: REVISITING 30 PUBLIC ARCHITECTURE SELECTIONS 설계공모 10년: 공공건축 30선에 다시 묻다

설계공모 제도가 「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 제정으로 변곡점을 맞았다면 그로부터 10년이 흘렀다. 그사이 제도는 고치고, 더하기를 계속하며 내달렸고 설계공모가 낳은 수많은 당선작이 우리 주변을 채웠다. 좋은 공공건축을 표방하며 각자의 시간과 장소에서 고군분투한 이들을 한자리에 펼쳐놓는다면 무엇이 보일까? 편집부는 지난 10년 동안 설계공모를 통해 지어진 공공건축물 중 건축계에서 우수함을 인정받은 30 작업을 선정했다. 당선안과 준공 사진을 나란히 살피고 당선 건축가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30 작업의 선정에는 수상 이력을 우선적으로 참조했으며 다양한 사례를 비교해볼 수 있도록 공모의 종류와 연도, 발주처, 용도 등을 고려해 가능한 한 고르게 안배했다. 다만 공공주택의 경우 규모나 프로그램 성격 면에서 다른 용도와 구별되는 점이 많아 이번 특집에서는 제외했다. 설계공모의 기획부터 심사, 당선과 그 이후까지, 좋은 공공건축으로 향해가는 과정에서 디딤돌은 무엇이고 걸림돌은 무엇이었는지. 설계공모 제도의 한가운데에서 그 면면을 목도했을 이들의 증언이 이다음의 10년을 위한 방향키를 쥐어주기를 기대한다.

Q1 공모부터 준공까지, 프로젝트의 주요한 과제는 무엇이었나? 프로젝트가 선취한 지점과 이를 가능케 한 요인은 무엇인가?

Q2 현재 우리나라의 설계공모 제도에 제언을 하자면?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design competition system was overhauled as a consequence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Building Service Industry. As multiple adjustments and corrections have been made over time to the operation of design competitions, the system has given birth to numerous selections that populate our surroundings today. If these winning designs, which were born out of the creative struggles of individual designers in their respective times and places under the aegis of ‘good public architecture’, were to be assembled in a single space, what would stand out? SPACE have selected 30 distinguished examples of public architecture that have been recognised by the architectural scene over the past 10 years. We compared images of the winning designs and their results, and interviewed the architects. Our selection criteria was primarily based on being honoured with selection, but we also wanted to offer as diverse an outlook as possible according to type and year of competition, ordering institution, and use or function, to offer a wide spectrum of examples. When it came to public residences, we decided not to feature them in this article as they are a unique breed in terms of scale and programme. By reviewing all stages, from planning, examination, selection, and the post-construction phases, and after hearing from those responsible for them about the obstacles that they faced on their journey towards good public architecture, we hope that the testimonies of these people who witnessed the various aspects of the design competition system will give us a sense of continued direction as to where we should be heading in the next 10 years.

Q1 From the design competition to construction, what was the main taks when it came to the cmpletion of your project? In which areas do you think your project did well, and what made this possible?

Q2 What suggestions would you make to improve the way design competitions are conducted in Korea?

도담어린이집 DODAM NURSERY SCHOOL

설계 임영환(홍익대학교)+김선현(디림건축사사무소)

위치 서울시 금천구 독산로32나길 48

용도 노유자시설(어린이집)

연면적 397.81m2

설계비 예산 – 53.499백만 원 / 실제 – 51백만 원

공사비 예산 – 10.83억원 / 실제 – 10.83억 원

공모연도 2013. 11.

완공연도 2014. 7.

발주처 금천구

수상 서울특별시 건축상 우수상(2015)

Architect Lim Yeonghwan (Hongik University) + Kim Sunhyun (D.LIM architects)

Location 48, Doksan-ro 32na-gil, Geumcheon-gu, Seoul

Programme facility for the elderly and children (nursery)

Gross floor area 397.81m²

Design cost budget – 53.499 million KRW / actual cost – 51 million KRW

Construction cost budget – 1.083 billion KRW / actual cost – 1.083 billion KRW

Competition year Nov. 2013

Completion year July 2014

Client Geumcheon-gu Office

Prize Seoul Architecture Awards (2015)

2013

지명설계공모

2013

invited design competition

A1

서울시에서 한시적으로 진행했던 공공건축가 지명공모로, 총 다섯 명의 지명 건축가가 한 달 여간 준비했다. 경사지 모퉁이 작은 삼각형 대지의 열악한 환경에 대한 창의적인 해석, 기능에 맞게 적절하게 분산 배치한 외부 공간, 연령별 공간이 명확하게 구분된 내부 공간 등으로 긍정적인 평을 받으며 당선됐다. 완공 이후 당선안을 거의 원안대로 유지한 점, 작은 공공 프로젝트에서 보기 힘든 마감 품질을 구현한 점, 이형의 대지에 맞게 건물을 분절하고 여러 개의 작은 마당을 만든 점을 높이 평가받았고 2015년 서울특별시 건축상을 수상했다. 프로젝트 규모가 작아 비상주 감리를 직접 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연면적이 400m2가 채 안 되는 작은 공공 프로젝트라서 천만 원이 안 되는 감리비를 받았지만, 공을 많이 들였다. 총 29차례의 현장감리와 그 이상의 내근 업무를 했다. 공공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는 공사감리에서 좌우된다고 생각한다. 특히, 규모가 작은 프로젝트에서 도면에만 의지하고 제3자 감리로 공사가 진행된다면 결코 좋은 공공건축은 탄생할 수 없다. 건축가 개인의 책임의식과 희생에 기대 공공건축의 성공을 담보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 안타깝다.

A2

투명하게 진행되는 설계공모의 꽃은 심사위원이다. 공정하고 청렴하며 좋은 작품을 선별할 능력을 가진 심사위원이 명단에서 점점 사라지고 있다. 신뢰할 만한 심사위원으로 구성된 설계공모에는 수십 명의 건축가들이 응모한다. 접수된 작품이 다섯 개 이하라면, 해당 공모의 심사위원 구성을 유심히 보아야 한다. 홍보나 지침서 문제가 아니다. 제도와 시스템 정비는 물론, 건축계의 자성과 변화가 절실하다.

임영환 홍익대학교 교수

A1

A total of five selected architects participated in the invited competition for public architects organis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ur project was reviewed positively for its creative interpretation of the small triangular site by the inclined corner and the way it addressed the difficult site conditions. It was also well-received for its desire to remain close to the original proposal design until the final submission, for its highquality finish which is often hard to come by in works of small-scale public architecture. All these alterations were made possible because the diminutive scale of the project made it feasible for us to conduct parttime supervision of the project. We carried out a total of 29 on-site supervisions and even more dedicated to in-house work. We believe the success of public projects is determined by its construction supervision. It is impossible to expect a good result if small-scale constructions like this are built under third party supervision with only a floor plan as a guideline. It is unfortunate that the success of public architecture hinges on an architect’s personal sense of responsibility.

A2

For a design competition conducted with all due transparency, a competent jury would be the cherry on top. The number of reviewers who practice fairness and can discern a good project when it lands on their desk is slowly declining. When a design competition is judged by a trustworthy committee, dozens of architects apply to it. If there are only five or fewer applications, it is likely that a problem lies with the jury. It is not a problem of lack of adequate advertisement or unclear guidelines. There is not only a need for improvements to the competition system but also deeper reflection on and reform across the architectural realm.

Lim Yeonghwan professor, Hongik University

영주시노인복지관 YEONGJU SENIOR CENTER

설계 보이드아키텍트 건축사사무소(장기욱, 이규상)

위치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3동 642-10

용도 노인복지시설

연면적 2,335.28m2

설계비 예산 – 2.06억 원 / 실제 – 1.78억 원

공사비 예산 – 50억 원 / 실제 – 47억 원

공모연도 2013. 9.

완공연도 2017. 1.

발주처 영주시

수상 한국건축문화대상 우수상(2017)

Architect VOID Architects (Zhang Kiuck, Lee Kusang)

Location 642-10, Hucheon3-dong, Yeongju-si, Gyeongsangbuk-do

Programme welfare facility for senior citizens

Gross floor area 2,335.28m²

Design cost budget – 206 million KRW / actual cost – 178 million KRW

Construction cost budget – 5 billion KRW / actual cost – 4.7 billion KRW

Competition year Sep. 2013

Completion year Jan. 2017

Client Yeongju City

Prize Korean Architecture Award (2017)

2013

일반설계공모(신진 건축사 대상)

2013

general design competition (for rising architects)

A1

주민들을 격의 없이 공동체로 연결시키던 기존 마을의 구성을 그대로 옮겨와 주민들의 익숙한 일상을 담을 수 있는 공동 사랑방으로 계획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공사비의 한계로 상부의 매스 구성이 통합되고 경사지붕이 평지붕으로 바뀌면서 마을 구성을 닮은 스케일이 깨진 점은 아쉽지만, 그럼에도 건물 속에 살아있는 골목길과 마당은 자생적인 만남과 이벤트의 주요 요소가 되고 있다. 처음에는 노인복지관이 위치한 마을을 철거하고 영주시 중앙공원을 조성하는 것으로 계획됐지만, 당시 마을의 마스터플랜에 참여한 이소진(건축사사무소 리옹 대표)이 마을을 대부분 유지하는 방향으로 지구단위계획을 조정하면서 오늘날의 성과로 이어졌다. 공공건축가 제도를 2009년부터 지자체 최초로 도입한 영주시는 도시 건축 관련 공무원들이 건축가가 주도하는 공간 구축에 적극적으로 행정적 지원을 한다. 도시 건축 관련 기관과 민간 전문가 간의 상생 협력체계는 지자체장이 바뀌어도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A2

설계공모의 면적한계, 그리고 개략공사비를 제출하게 해 결정공사비를 맞출 책임을 당선자에게 묻는 구조는 바람직하지 않다. 대지의 특수한 상황이나 물가상승률 등이 애초에 공사비에 반영되지 않고 산출 기준도 사업마다 제각각이다. 설계비도 공사비에 따라 춤을 춘다. 요즘 같은 물가상승 시대에 당선안을 지키기 위해 공사비와 사투하기는 더욱 힘겨우며, 결국 당선안의 공간적, 물성적 희생을 수반하게 된다. 응모안의 의도에 따라 새로운 프로그램 및 적정 공사비를 고려한 면적 수정 자율권이 어느 정도 주어진다면 추후 공사비와의 전쟁에 힘을 낭비하지 않을 수도 있으리라.

장기욱, 이규상 보이드아키텍트 건축사사무소 공동대표

A1

Our project was reviewed positively for reusing the original town composition which had drawn its residents together as a welcoming community as part of a common living room for the locals. While it is unfortunate that the project’s scale resembling the original town composition had to be set aside due to construction costs, the revitalised alleyway and yard in the building continue to be the main point encouraging spontaneous meetings and events. While originally the senior centre was to be dismantled and the town was to be set in a central park for Yeongjusi, Lee Sojin (principal, Leeon Architects) who participated in the town masterplan suggested a readjustment to the districtlevel plan to keep the town largely intact as we find it today. The Yeongju City – which was the first local government to institute the Public Architect system in 2009 – and its public officials involved in urban architecture have actively aided architect-led spatial constructions via administrative support. This mutually cooperative system between urban architecture related institutions and private professionals has since continued despite changes to the leadership in local government.

A2

It is not appropriate to hold an elected designer responsible for meeting the final construction budget by asking him or her to propose the area limits and estimated construction costs at the stage of a design proposal. This is because things like unique site conditions and inflation rates are not reflected in construction costs and different calculation standards are employed per project. Design costs fluctuate according to construction costs. This often leads to deviations from the original plan in terms of space and physical features. Much energy would be saved when competing for budgets if some margin for modification in the area size in consideration of the new programme to be introduced and appropriate construction costs in line with the interests of the design proposal could be granted.

Zhang Kiuck, Lee Kusang co-principals, VOID Architects

구산동도서관마을 GUSAN-DONG VILLAGE LIBRARY

설계 최재원(플로건축사사무소)+디자인그룹오즈 건축사사무소

위치 서울시 은평구 연서로13길 29-23

용도 교육연구시설(도서관)

연면적 2,550.25m2

설계비 예산 – 1.65억 원 / 실제 – 2.2억 원

공사비 예산 – 55.8억 원 / 실제 – 65억 원

공모연도 2013. 6.

완공연도 2015. 6.

발주처 은평구

수상 서울특별시 건축상 대상(2016), 대한민국 공공건축상 대상(2016)

Architect Choi Jaewon (FLO Architects) + Design Group OZ

Location 29-23, Yeonseo-ro 13-gil, Eunpyeong-gu, Seoul

Programme library

Gross floor area 2,550.25m²

Design cost budget – 165 million KRW / actual cost – 220 million KRW

budget – 5.58 billion KRW / actual cost – 6.5 billion KRW

You’re reading a preview, subscribe to read more.

More from Space

Space28 min read
News
이덕언 학생기자 로컬리티와 글로컬. 오래전부터 인지해오던 시대적 문제를 지적하며 나온 말이지만 뚜렷한 정책이나 변화 없이 단어만 언급됐던 탓일까? 이 단어들은 등장 당시 품고 있던 높은 꿈과 기대를 제대로 대변하지 못하는 듯하다. 부산현대미술관에서 열리는 전시 <이것은 부산이 아니다: 전술적 실천>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로컬리티란 무엇인가? 우리는 무엇을 잘못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전시는 일곱 가지의 소주제를 각각 '전술'이
Space1 min read
Space
PUBLISHER & EDITOR 황용철 Hwang Yongcheol EDITOR-IN-CHIEF 김정은 Kim Jeoungeun (lalart@spacem.org) EDITOR 방유경 Bang Yukyung (thirdroom@spacem.org) 박지윤 Park Jiyoun (space1125@spacem.org) 윤예림 Youn Yaelim (yaelimyoun@spacem.org) 김지아 Kim Jia (lifestremin@spacem
Space14 min read
남반구에서 찾은 대안적 건축의 가능성: 2023 샤르자 건축트리엔날레 Alternative Realities for Architecture in the Global South: Sharjah Architecture Triennial 2023
지속적으로 지식을 교환하며 전시를 진행했다는 점이다. 비영구성의 아름다움이라는 주제를 정교하게 발전시키며 '새로워진 맥락(Renewed Contextual)', '추출 정책(Extraction Politics)', '무형의 구체들(Intangible Bodies)'이라는 서로 중첩되는 세 가지 가닥을 설정했다. 새로워진 맥락은 지역의 장소성과 사회문화적 맥락에 기반한 재활용 개념이다. 전통적인 재료와 지역의 폐기물을 현대 건축 생산 방식에 부드

Related Books & Audio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