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생태적 매트릭스, 숨 쉬는 건축 AN ECOLOGICAL MATRIX: BREATHING ARCHITECTURE

미래가 순간 이동해왔다. 우리는 늘 미래를 가늠해보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가져온 미래는 너무나도 빠르고 강력하다. 한반도 여름 폭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기상이변은 팬데믹 이후 우리의 삶이 이전의 질서로 돌아갈 수 없는 ‘새로운 세계'라는 점을 각인해준다.

과학과 의학이 발전된 환경에서 맞이한 전염병에 인류는 비교적 잘 견뎌냈다. 그래서인지 기후위기의 위중함에 비해 자각과 대처는 미약하다. 환경과 밀접하며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40%를 차지하는 건설 분야에서 ‘지속가능성'은 해묵은 주제지만, 건축 생산의 근원은 그대로 둔 채 재생에너지 기술을 ‘덧대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재생에너지를 통한 문제 해결 노력을 무의미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윤리적 차원을 포함한 건축 생산의 근원적인 변화를 전제하지 않는다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지속가능성은 기술적 장치에만 의존하는 도구적 수단에 머물 수밖에 없다. 단열과 기밀로 단절된 공간에 에어컨, 열교환 시스템을 설치한 패시브하우스에서의 거주는 환경과 교감을 상실한 고립된 객체일 뿐이다.

오늘날 도시를 이루는 현상은 매우 복잡해졌고, 건축은 방대한 영역의 지식과 견해에 둘러싸여 있어 체계적으로 다루기가 어렵다. 거장의 시대 이후, 현대건축의 다양한 양상들은 우리로 하여금 ‘홀로서기'가 대세인 듯 느끼게 하지만 본래 개체화된 존재는 정착이 어렵다. 독창성이라는 이름으로 건축을 자유롭게 하려는 태도가 자칫 건축이 감당해야 할 사회적·환경적 책무와는 무관하게 개인적 사변에 빠질 우려를 낳는다. 팬데믹 상황은 기후와 환경이라는 주제를 매개로 객체화된 현대인들을 공동성의 영역으로 초대하는 상황이다. 팬데믹 이후

You’re reading a preview, subscribe to read more.

More from Space

Space13 min read
건축의 적정함 The Appropriateness of Architecture
이번 프레임을 통해 조윤희(구보건축 대표), 홍지학(충남대학교 교수) 두 사람(이하 구보)과 함께 둘러본 네 작업은 서울의 다양한 도시적 맥락 속에 위치한다. 용도도 지역도 크게 다르지만 이들은 모두 제 위치에서 담담히 각기 다른 표정으로 도시의 일상적 공간 속에 사뭇 비범한 풍경을 만들어낸다. 원래부터 있었다는 듯이 자리 잡고 있지만 두 건축가가 정교하고 영리하게 구축해놓은 새로운 관계의 틀은 천천히 주변과 상호작용하며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을
Space28 min read
News
이덕언 학생기자 로컬리티와 글로컬. 오래전부터 인지해오던 시대적 문제를 지적하며 나온 말이지만 뚜렷한 정책이나 변화 없이 단어만 언급됐던 탓일까? 이 단어들은 등장 당시 품고 있던 높은 꿈과 기대를 제대로 대변하지 못하는 듯하다. 부산현대미술관에서 열리는 전시 <이것은 부산이 아니다: 전술적 실천>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로컬리티란 무엇인가? 우리는 무엇을 잘못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전시는 일곱 가지의 소주제를 각각 '전술'이
Space3 min readArchitecture
논현동 근린생활시설 nnhn73
논현동 근린생활시설은 강남 메가블록의 이면도로가 교차하는 모서리 땅에 위치한다. 인근 동네는 팬데믹 이후 최근 몇 년간 신축 붐이 이어지면서 저마다 디자인 의지가 뚜렷한 건물들이 줄지어 들어서고 있었다. 우리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건물과 도시의 모서리를 다루는 방식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건축 임대 시장에서 경쟁하는 화려한 건물들이 줄지어선 동네의 맥락은 개구부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택하게 했다. 흰 벽이 도드라지는 입면이 절곡되며 모서리를 따라

Related Books & Audio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