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콘크리트는 콘크리트다 CONCRETE IS CONCRETE

박정현은 건축평론가로 대학에서 역사와 이론을 가르치고 있다. 『건축은 무엇을 했는가?』를 비롯해, 『전환기의 한국건축과 4.3그룹』(이하 공저), 『아키토피아의 실험』, 『중산층 시대의 디자인 문화』 등을 썼다. 『포트폴리오와 다이어그램』, 『건축의 고전적 언어』 등을 우리말로 옮겼고, 2018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스테이트 아방가르드의 유령>을 비롯해 <종이와 콘크리트: 한국 현대건축 운동 1987~1997> 등의 전시 기획에 참여했다.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도서출판 마티에서 편집장으로 일했다.

Park Junghyun is an architectural critic and teaches history and theory at universities. He has produced several publications, such as Modern Architecture in the Developmental State of Korea, and is the co-author of Korean Architecture in the Transitional Period and 4.3 Group, Experiment of Architopia, and Design Culture in the Middle Class Age. He translated Portfolio and Diagram and The Classical Language of Architecture into Korean, and has participated in the planning of exhibitions such as The Korean pavilion at the 2018 Venice Biennale ‘Spectres of the State Avant-Garde’ and ‘Papers and Concrete: Modern Architecture in Korea 1987 – 1997’. He received his doctorate from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and was the editor in chief of MATI BOOKS.

언덕 위의 집(2023)은 구릉지에 조성된 단독주택단지 가장 높은 곳에 자리 잡고 있다. 경사지를 그대로 살리지 못하고 평평한 필지로 바꾸어야 하는 법규 때문에 평활한 마당에 작게 남아 있는 언덕은 자연적이면서 인공적이다. 명쾌하고 간결한 평면을 지닌 직사각형 매스 두 개가 수직으로 만나는데, 그중 하나는 마당의 작은 언덕 위에 걸쳐 있다. 땅과 분명하게 구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대단히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로 대지 위에 올라서 있다. 지하 주차장으로 내려가는 계단이 있지만, 건물은 급한 경사를 지닌 땅을 적극 활용하는 편은 아니다. 전작인 아홉칸 집(2018, 「SPACE(공간)」 605호 참고)에서처럼 땅은 땅이고 건물은 건물이다. 거푸집의 흔적을 지우지 않은 표면은 이 매스가 하나의 덩어리라는 인상을 지운다. 개구부의 높이와 간격, 보의 위치와 슬래브의 위치와 두께를 거푸집의 모듈과 조율해 생긴 이 흔적은 콘크리트 판재를 조립해 쌓은 흔적처럼 보이기도 한다. 구조적으로 바닥과 벽 모두가 하나의 덩어리라 하더라도 논리적으로 건물은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부재가 접합되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네임리스 건축의 모형에서 더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고 이 집이 건식을 모사했다는 말은 아니다. 콘크리트라는 재료를 더 분명하게 강조한다. 나무 같은 별도의 마감재 없이 외부의 물성이 그대로 이어지는 바닥, 내단열을 위해 외기와 면하는 벽을 제외한 벽과 계단은 외벽과 동일하다. 여기에 금속으로 만든 부엌 가구와 계단 난간, 카펫과 커튼 같은 패브릭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건축주의 라이프스타일이 더해져 이 건물에서 건축 재료 날것의 물질성은 폭발한다. 외부에서 눈으로 감지하는 것과 내부에서 발과 몸의 촉감으로 느끼는 감각 사이의 간극이 무척 좁다. 안도 다다오가 콘크리트를 20세기 산업사회의 대리석으로 승화시키려고 했다면, 여기서 콘크리트는 콘크리트다. 마당의 작은 언덕 위에 올라탄 매스를 강조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 지지벽은 거칠게 표면을 다듬은 골재의 집적체라는 콘크리트의 다른 면, 보통은 숨기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면서 마당의 영역을 분할한다. 재료와 물질의 성격을 강조하고

You’re reading a preview, subscribe to read more.

More from Space

Space13 min read
서울의 땅과 물, 이야기를 잃지 않으려면: 백운동천 물길공원 계획안 Preserving the Land, Water, and Stories of Seoul: The Baegundongcheon WaterWay Park Masterplan
서울 한복판, 경복궁을 뒤로하고 조금만 길을 오르면 창의문 기슭에서 흘러내려오는 백운동천과 대한제국 시절의 독립운동가 집터가 있다. 비록 물길은 도로 밑에 묻혔고 집은 그 터만 남아 지금은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지만 이곳 생태와 역사를 복원하는 일이 서울의 정체성을 되찾는 일이라 주장하는 사람이 있다. 지난 2월, 「SPACE(공간)」 편집부에 걸려온 한 통의 전화에 허서구(허서구건축사사무소 대표)를 만났다. 그의 말에 따르면 백운동천 일대는 현
Space1 min read
Space
제출 및 문의 spaceacademia00@gmail.com 02-396-3359 편집위원장 김성홍(서울시립대학교) 이상헌(건국대학교) 정만영(서울과학기술대학교) 편집위원 강혁(경성대학교) 김현섭(고려대학교) 박진호(인하대학교) 송하엽(중앙대학교) 아라티 카네카(미국 신시내티 대학교) 마크 자르좀벡(미국 MIT) 장용순(홍익대학교) 정인하(한양대학교) 정현태(미국 리하이 대학교) 조성용(광운대학교) 최원준(숭실대학교) 존 페포니스(미국 조지아
Space3 min read
웜 앤 쿨 Warm and Cool
우리는 이 건물을 두 가지 방식으로 설명하곤 한다. 첫 번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 건물은 층별로 원룸이 3세대씩 들어가야 하는 빡빡한 평면으로 이루어진 저층부와 의뢰인 가족이 살고 있는 4, 5층의 고층부로 이루어져 있다. 대지가 작아 모든 공간이 여유가 없었고 우리는 구조적 지식을 활용하여 조금이라도 편한 건물을 만들고자 했다. 2, 3층 입면을 비렌딜 트러스로 구성하여 1층 외부 진출입부에 기둥이 없는 편리한 주차장을 만들었다. 화재 위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