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구축의 의지 삶의 형상을 만들다 The Will to Build a New Typology for Life

하늘을 향해 뻗은 네 개의 가지

작가의 작업이란 가지를 뻗으며 성장하는 나무와 같다고 믿는다. 처음에는 가늘게 땅에서 올라와 버티고 서지만, 시간이 지나면 몸통은 굵어지고 키도 자라 가지를 뻗어 빈 하늘을 채우기 시작한다. 점점 가지는 굵어지고 가지에 새 가지가 나와 나무는 자라고 또 자란다. 하늘이 세상이라면 비어 있는 자리는 해결하지 못한 어떤 것, 세상이 작가에게 바라는 무엇이란 생각을 하곤 한다. 여기 네 개의 작업은 그렇게 세상에 내어놓은 우리의 응답인 동시에 ‘구가’라는 하나의 뿌리에서 뻗어나온 가지들이다. 어떤 것은 굵고 곧아 당당한 모습인가 하면, 막 가지를 치고 나온 놈은 아직 연약하고 생경할 수도 있다.

1단계를 지나며

도시한옥을 바탕으로 다양한 현대한옥 작업을 하는 한편, 답사와 조사를 통해 우리 원형의 주거가 마당을 삶의 중심에 두고 사는 ‘마당집’임을 깨닫게 되었다. 여러 곳에 마당집을 구현했는데, 지하층이나 공방이 결합되기도 했지만 대체로 2층 규모의 집들이 많았다. 건축주들의 바람으로 마당집은 자연스럽게 ‘한옥 같은 집’으로 발전했다. 목구조에 전통적인 구조미가 드러나고, 안팎으로 개방적인 관계를 이루며, 한지와 창호로 마감된 방이 있으며, 마당으로 처마를 내민 집이 되었다. 어느 시점에 이르자, 스스로 한옥과 현대건축을 넘나들며 다양한 작업이 가능함을 알게 되었다. 특히 일정 규모의 주택 작업에 적용할 개념과 건축 언어를 갖게 되면서 내 작업의 ‘1단계(phase 1)’를 지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난 「SPACE(공간)」 629호(2020년 4월호)에 실린 작업들이 이를 보여주는 사례다.

Four Branches Reaching towards the Sky

I believe the work of an artist is similar to a tree that grows as it stretches its branches. In the beginning, it rises in slender form from the ground and begins to take a firm stand, but as time passes, its trunk thickens and it grows taller, stretching its branches to fill an empty sky. The branches gradually get denser, and then new twigs branch out from them, and so the tree continues to grow. If the sky is the world, I often think of empty space as something that has not yet been resolved, something that the world wants from an artist. The following four projects are our responses to the world in that vein, and simultaneously, as branches from a root known as ‘guga urban architecture’. Some are firm, straight, and confident, whereas others that have only just begun to branch out are fragile and not yet fully formed.

Passing Through Phase 1

While working on various modern projects that take the as their basis, through site visits and research, I came to realise that our prototypical residence is a ‘’ (courtyard house) in which we live with the courtyard at the centre of our lives. The was embodied in many different places, and although it was sometimes integrated with basements and workshops, it was generally configured as a two-storey house. With the wishes of the clients, naturally developed into a ‘house akin to a ’. It has become a house with the traditional beauty of a structure expressed in a wooden structure, with an open relationship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with rooms finished with (traditional paper) and windows, and with the eaves extending into the yard. At a certain point, I came to realise that it is possible to work manifoldly by crossing the and structures in modern architecture. In particular, as I began to master the concept and architectural language to be applied to residential projects of a certain scale, I came to think that I was passing through phase 1 of my work. The projects published in No. 629 (Apr. 2020) are examples of this.

You’re reading a preview, subscribe to read more.

More from Space

Space13 min read
서울의 땅과 물, 이야기를 잃지 않으려면: 백운동천 물길공원 계획안 Preserving the Land, Water, and Stories of Seoul: The Baegundongcheon WaterWay Park Masterplan
서울 한복판, 경복궁을 뒤로하고 조금만 길을 오르면 창의문 기슭에서 흘러내려오는 백운동천과 대한제국 시절의 독립운동가 집터가 있다. 비록 물길은 도로 밑에 묻혔고 집은 그 터만 남아 지금은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지만 이곳 생태와 역사를 복원하는 일이 서울의 정체성을 되찾는 일이라 주장하는 사람이 있다. 지난 2월, 「SPACE(공간)」 편집부에 걸려온 한 통의 전화에 허서구(허서구건축사사무소 대표)를 만났다. 그의 말에 따르면 백운동천 일대는 현
Space1 min read
Space
제출 및 문의 spaceacademia00@gmail.com 02-396-3359 편집위원장 김성홍(서울시립대학교) 이상헌(건국대학교) 정만영(서울과학기술대학교) 편집위원 강혁(경성대학교) 김현섭(고려대학교) 박진호(인하대학교) 송하엽(중앙대학교) 아라티 카네카(미국 신시내티 대학교) 마크 자르좀벡(미국 MIT) 장용순(홍익대학교) 정인하(한양대학교) 정현태(미국 리하이 대학교) 조성용(광운대학교) 최원준(숭실대학교) 존 페포니스(미국 조지아
Space3 min read
웜 앤 쿨 Warm and Cool
우리는 이 건물을 두 가지 방식으로 설명하곤 한다. 첫 번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 건물은 층별로 원룸이 3세대씩 들어가야 하는 빡빡한 평면으로 이루어진 저층부와 의뢰인 가족이 살고 있는 4, 5층의 고층부로 이루어져 있다. 대지가 작아 모든 공간이 여유가 없었고 우리는 구조적 지식을 활용하여 조금이라도 편한 건물을 만들고자 했다. 2, 3층 입면을 비렌딜 트러스로 구성하여 1층 외부 진출입부에 기둥이 없는 편리한 주차장을 만들었다. 화재 위

Related Books & Audiobooks